![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Gpqz%2FbtsL3859HIf%2FEwamD0NkVZVPpHqkrqky9K%2Fimg.png)
도메인 테스트를 하면서 궁금했던 내용들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도메인마다 서로 다른 메뉴 구성이 필요했습니다. 각 도메인에서 올바른 메뉴가 제대로 렌더링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hosts 파일을 활용하여 로컬 환경에서 도메인 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궁금한 점들이 생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DNS와 hosts 파일의 작동 방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 같아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왜 굳이 hosts 파일을 사용하는 걸까?처음에는 단순히 DNS 서버를 통해 IP 주소를 받아올 수 있는데, 왜 굳이 hosts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알고 보니, hosts 파일을 사용하면 특정 도메인을 로컬 환경으로 빠르게 연결할 수 있어 테스트에 유용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특히, ..
싱글톤 패턴이란?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 번만 메모리를 할당(static)하고 해당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패턴입니다. 정리하자면, '하나'의 인스턴스만 생성하여 사용합니다. 싱글톤 패턴 구현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객체를 미리 생성하고 가져오는 가장 단순하고 안전한 방법을 사용한 코드입니다.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instance = new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 생성자는 외부에서 호출못하게 private 으로 지정해야 한다.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
![article thumbnai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QDL2Y%2FbtssJkiljZT%2FrgBmPHHmZhjKJFJGN8Daw0%2Fimg.png)
스택, 큐, 덱이란?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기본적인 구조로 일차원의 선형(linear) 자료구조입니다. 여기서 선형구조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형태로 데이터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간에 순서가 있고 논리적으로 이어져 있는 구조를 의미합니다.(배열/리스트와 유사하게) 값을 저장(insert 또는 set)하는 연산과 저장된 값을 꺼내는(remove 또는 get) 연산이 제공된다. 그러나 매우 제한적인 규칙(LIFO, FIFO)등을 따릅니다. 스택(stack)스택(Stack)은 "쌓다"라는 의미로,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입니다.조금 더 설명하자면, 위의 사진과 같이 데이터가 순서대로 쌓이며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